패션마케팅의 근본
패션마케팅 기업경영의 근본은 고객에게 어떤 물건을 팔아 이익을 얻는 것이다. 그렇다면 기업이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보다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고객이 원하 는 물건을 팔아야 한다. 이것을 생각하고 계획하고 실행하는 기업활동이 마케팅이다. 고객이 구매의욕을 느끼지 못하는 제품은 아무리 많이 만들어도 팔리지 않을 것이다. 기업이 제품을 팔아 많은 이익을 올리고자 한다면 우선 고객의 욕구를 생각하고 고객의 욕구에 맞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그렇다면 고객의 욕구에 맞는 제품을 만들기만 하 면 무조건 팔릴까?
의류 제조회사가 겨울 코트를 만들어 창고에만 쌓아만 놓는다면 날 씨가 추워져도 고객은 코트를 살 수가 없다. 만든 코트를 대리점에 진열해 놓거나 통신 판매 등으로 팔아야 고객은 비로소 코트를 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제조업자는 도 매 업자나 소매업자에게 제품을 팔고 유통시켜야 제품을 팔 수 있게 된다.
제품을 유통시켜 점포에 진열해 놓으면 일단 팔리기는 하겠지만 그것은 단순히 선택 되어지기를 기다리는 소극적인 자세이다. 여러 제품들 중에서 선택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광고나 신문광고 등의 판매촉진 활동을 통해 다른 제품보다 눈에 띄어, 고객으로 하여금 구매의욕이 생기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가격도 제품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사고 싶어도 너무 비싼 느낌이 들면 고객은 사지 않기 때문이다. 즉 기업이 제품을 팔기 위해서는 고객의 욕구에 맞는 물건을 만들고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적절한 가격을 책정하여 적절한 장소에 유통시키고 적절한 판매촉진 활동을 하여 야 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이 마케팅이다. 즉, 패션마케팅은 패션 소비자들이 원하는 패 션 제품, 서비스 및 아이디어의 발상, 가격결정, 촉진, 유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이 다. 패션마케팅은 섬유, 직물, 가죽, 모피, 트리밍, 의복과 액세서리의 상품개발, 생산, 유통, 판매 및 판매촉진의 바탕이 된다.
패션마케팅의 개념
패션마케팅의 개념 마케팅이란 용어는 20세기 초반 미국에서 등장한 것으로 1960년 전반까지는 기업의 목적 달성을 위한 하나의 기능(function)으로 인식되었으며 1960년 미국 마케팅학회 (AMA: America Marketing Association)의 용어집에서는 마케팅을 생산자로부터 소 비자나 사용자에게로의 제품이 나 서비스의 흐름을 다루는 기업행위의 수행이라고 정의하였다.
코틀러(Kotler)와 레비(Levy)는 영리 추구 기업만이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 라 학교 등 비영리 기관도 마케팅 행위나 적어도 마케팅 유사행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마케팅의 핵심은 상거래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교환(exchange)에 있으므로 교환 활동에 참여하는 모든 종류의 기관도 마케팅을 수행하는 것으로 마케 팅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이를 토대로 미국 마케팅학회는 1985년에 마케팅은 개인과 조 직의 목적을 충족시켜 주는 교환을 가져오기 위해 아이디어,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발 , 가격결정, 촉진 그리고 유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이라고 재정의 하였다.
이러한 마케팅 개념의 정의는 기업, 고객 그리고 사회의 관심사에 대해 중요성을 부 여하는 정도에 따라 기업중심적 마케팅, 고객지향적 마케팅, 사회 지향적 마케팅으로 변화해왔다. 다른 소비재에 비해 패션제품은 소비자들의 일상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늘 변화하는 패션의 영향 아래에 있으므로 변화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아 주 잘 파악해야 하며 패션의 주기 또한 매우 빨라지고 있으며 또한 제품의 물리적 속 성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감성과 개성을 표현하는 제품이므로 효과적인 패션마케팅의 수행이 경쟁이 매우 치열한 현 상황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패션마케팅이란 유행(fashion)의 흐름을 고객욕구의 하나로 파악하여 제품이나 서비 시에 반영하는 마케팅이다. 고객이 수용하는 중요한 유행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반영하거나 예측하여 유행을 선도하는 활동까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변화에 대한 끊임없는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소비자 지향적인 마케팅 개념이다.
'패션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마케팅 도구와 제품 (0) | 2021.08.13 |
---|---|
패션마케팅의 핵심개념 (0) | 2021.08.13 |
국내패션산업의 의류 소비시장 (0) | 2021.08.12 |
국내패션산업 발전단계와 현황과전망 (0) | 2021.08.11 |
패션산업의 개념과 구조 정리 (0) | 2021.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