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마케팅4

패션마케팅의 소비자 행동 소비자 행동 패션마케팅의 목적은 패션 소비자들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를 통해 그들을 만 족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업은 소비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소비자를 알아야 한다.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이해하는 출발점은 자극-반응 모델이다. 이 모델은 마케팅 자극과 환경적 자극이 구매자의 의식으로 들어감을 보여주고 있다. 구매자의 특징과 의사결정 과정은 어떤 구매 결정을 유도한다. 패션마케팅 관리자는 외적 자극과 구매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 사이에 있는 구매자의 의식 내에서 무엇이 일어나는가를 이해하여야 한다. 소비자 구매행동의 주요 영향요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은 문화적, 사회적, 개인적 및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다. 문화적 요인이 가장 폭넓고 깊게 영향을 준다. 1. 문화적 요인 1) 문화 문화란.. 2021. 8. 23.
패션마케팅의 커뮤니케이션 개념 및 전략 패션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및 전략 커뮤니케이션은 '정보의 전달' 혹은 발신자와 수신자 간 사고의 공통영역을 구축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이 이 루어지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당사자인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사고에 있어서 공통 영역이 있어야 하며, 서로 간에 정 보가 전달되어야 한다. 패션마케팅 체제 안에서 패션기업은 중간상, 소비자 그리고 다 양한 대중들과 커뮤니케이션한다. 또한, 각 집단들은 서로 간 또는 다른 집단들에게 의 사전 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특히 인터넷에 의해 '일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양방향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 전환하게 됨에 따라 패션기업에게는 이러한 상호 피드백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패션마케팅 활동을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기 .. 2021. 8. 23.
패션마케팅 도구와 제품 패션마케팅 도구 패션기업에서는 표적고객의 욕구 충족과 기업이윤추구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마케팅 환경과 소비자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계획(plan)하고 이를 수행 (implement)하고 통제(control)한다. 즉, 패션마케팅 프로그램에는 제품(product), 가 격(price), 유통(place) 촉진(promotion)이 포함되는데 이는 마케팅 관리자가 기업 목표 달성을 위해 사용하는 마케팅 수단(marketing tools)들로 이를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라고 한다. 패션마케팅 관리자는 통제 가능한 마케팅 믹스 변수들을 적절히 결합하 여 통제 불가능한 마케팅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패션시장과 패션제품 1. 패션시장 미국 마케팅 학회는 시장을 .. 2021. 8. 13.
패션마케팅의 핵심개념 패션마케팅의 핵심 개념 1) 필요와 욕구 패션마케팅은 필요(needs)와 욕구(wants)에서 출발한다. 필요는 인간의 기본적인 요 구사항이다.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음식, 공기, 물, 의복 및 주거지를 필요로 하는 것 이 그것이다. 필요가 인간이 본능적으로 갖고 있거나 외부 자극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라면 욕구는 소비자가 느끼는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특별한 목적물이다. 음식이 필요한데 햄버거와 콜라를 원한다는 것이다. 즉 욕구는 그 사람이 살고 있는 사 회환경에 의해 형성된다. 수요는 욕구가 구매력과 구매의지에 의해 뒷받침되었을 때 일 어나며 따라서 패션기업은 얼마나 많은 소비자들이 자사의 제품을 구입할 의지와 능력 이 있는지를 측정해야 한다. 2) 패션제품 제품이란 소비자의 필요와 욕.. 2021.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