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6 패션의복디자인의 구성요소 의복 디자인의 구성요소 1) 의복 원형 의복 원형이란 평면 재단용 옷본(Pattern)을 만들 때 기초가 되는 것으로 인체계측으 로 얻은 치수에 인간의 동적 기능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기초 여유를 넣은 인체에 밀 착되는 기본 옷을 의미한다. 의복 원형은 기능상 길(bodice), 소매(sleeve), 스커트(skirt), 슬랙스(slacks)의 기본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기본 치수는 다음과 같다. • 엉덩이 둘레(Hip girth) : 엉덩이의 가장 두드러진 부위를 수평으로 돌려서 잰다. • 가슴둘레(Bust girth) : 가슴의 유두점을 지나는 수평 부위를 돌려서 잰다. 이 때는 편안한 상태에서 당기지 말고 그대로 잰다. • 허리둘레(Waist girth) : 허리의 제일가는 무위를 돌려서 잰다. .. 2021. 8. 27. 패션 복식의 흐름 복식의 흐름 복식은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이며 시대적 상황에 대한 반응 수단이고, 인체와 그 움직임, 2차원적인 평면, 즉 직물 등을 도구로 하여 인간의 무한한 상상력을 표현하는 입체적 조형 작업이라는 점에서 건축 조각 회화 공예 분야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그 시대의 예술 양식(art style)을 표출하는 중요한 장르를 맡고 있다. 특히 건축과 복식은 규모나 신체로부터의 거리에 차이가 있을 뿐, 인간을 둘러싸는 인접한 환경이라는 점과, 기능성과 미가 조화된 조형예술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역사적으로 건축의 조형적 요소의 이미지가 형상화되어 복식에 나타나는 등 대개 유사한 형태로 표현되어 왔다. 또한 시대적 흐름과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예술사 조는 예술가들과 서로 깊은 연관을 .. 2021. 8. 25. 패션마케팅의 커뮤니케이션 개념 및 전략 패션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및 전략 커뮤니케이션은 '정보의 전달' 혹은 발신자와 수신자 간 사고의 공통영역을 구축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이 이 루어지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당사자인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사고에 있어서 공통 영역이 있어야 하며, 서로 간에 정 보가 전달되어야 한다. 패션마케팅 체제 안에서 패션기업은 중간상, 소비자 그리고 다 양한 대중들과 커뮤니케이션한다. 또한, 각 집단들은 서로 간 또는 다른 집단들에게 의 사전 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특히 인터넷에 의해 '일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양방향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 전환하게 됨에 따라 패션기업에게는 이러한 상호 피드백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패션마케팅 활동을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기 .. 2021. 8. 23. 패션 유통산업 패션 유통 1. 패션 유통의 개념 유통은 생산과 소비를 연결시키는 교량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특정 상 품이나 서비스가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 이전되는 현상 또는 과정으로 이에 관계되는 재활 동의 종합 개념을 의미한다. 유통산업은 상품이 생산자에서 최종 소비자의 손에 전 달 되는 과정에서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상품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통부문을 구성하는 유통기구들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도매상, 소매상, 물적 유통기구 등 순순하게 유통에만 전념하는 중간상과 보조기 구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어패럴산업에서의 유통산업은 원사, 원단, 의복 의도 소매 기능을 담당하는 기업의 총칭이며 제품의 보관, 운송, 포장 등의 업무가 포함되기도 한다 60년대 이후 주로 .. 2021. 8.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