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복 구성
의복 구성의 요소 의복 구성시에는 갖추어야 할 요소가 있다. 누가 착용하는가, 어느 때에 착용하는가. 어떤 재료를 가지고, 어떤 디자인에 의하여, 어떻게 제작되었는가 라는 다섯 가지를 반드시 구비해야 한다.
(1) 착용자
의복을 입는 사람이 누구인가 하는 것으로, 의복은 개인별로 소유하는 것이므로 개인 적인 특성이 뚜렷이 나타난다. 특히 입는 사람을 대상으로 만들어서 착용자에게 적합한 의복이라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착용할 개인에 대한 성별, 연령, 직업, 취미, 기호, 라이프 스타일 등의 개성적 인연 구를 충분하게 하여야 한다.
(2) 착용 조건
의복을 언제(Time), 어디서(Place), 무엇(Occasion) 때문에 착용하는가 하는 것이다. 의복을 착용하는 시각, 계절, 환경 등의 자연적 조건과 풍습, 유행 등의 사회적 조건과 착용자 개인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재료와 색상,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며, T.P.O. 에 맞게 착용하여야 한다. 시각에 따른 조건으로는 데이타임 웨어(Daytime wear)는 상용복이나 외출복에 가벼운 액세서리로서 장식하여 강한 색채나 재질, 디자인은 삼가는 것이 좋고, 이브닝 웨어 (Evening wear) 일 때는 불빛을 염두에 두고 화려하면서 드레시한 복식이 좋다. 따라서 재료의 선택은 광택이 있거나 얇고 부드러운 것도 좋으며, 디자인은 대담하게 혹은 화 려하게 하며 액세서리는 값비싼 보석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계절에 따른 조건으로는 여름철은 재료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쾌적할 수 있도록 통기성, 흡습성이 좋고, 열전도율이 크며, 색상도 열 흡수가 적은 것 을 선택해야 하며, 디자인도 체열의 발산과 증발을 많이 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넓게 하고 예의에 벗어나지 않는 정도에서 노출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좋다. 겨울에는 한랭 한 기온에서 체열의 손실을 방지하고 보온할 수 있는 재료와 디자인, 색상 등을 고려해야 한다. 환경에 따른 조건은 가정, 직장, 회의장, 연회장, 예식장, 상가 등에 알맞은 복식의 재료와 디자인, 색상 등을 고려해야 한다.
(3) 재료
의복구성에 있어서 재료의 선택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재료를 선택할 때에는 의복의 종류나 계절, 착용 목적 등에 따라 다르나 착용자에 알맞은 재료, 즉 성별, 직업, 연 령, 용도 등에 알맞은 재료를 선택하여야 하며, 착용 조건에 부합되는 재료(위생면, 외관 적인 면, 실용적인 면)인 동시에 경제적인 재료, 즉 수입을 고려하며 기타 의복 관리면 에서 세탁, 정리, 보관에 이르기까지 유의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4) 디자인
디자인은 의복의 미적인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만이 아니라 기능적인 욕구도 만 족시키는데 중요한 문제가 있다. 착용자와 착용 조건에 맞도록 구성하려면 재료의 선택과 함께 디자인도 중요한 요소이고 재료도 디자인에 따라서 효과를 살릴 수 있다. 또 유행을 도입하는 방법이나 전통을 살리는 방법 등도 모두 디자인에 주어진 문제이다.
(5) 제작
의복 제작은 재료와 디자인이 선택된 후 의복을 구성하는 최종단계로서 이에 따라서 치수 설정, 제도, 패턴 제작, 재단, 가봉, 보정, 본봉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복 의 형태를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의복으로서의 가치를 좌우하는 것이다. 즉 착용자, 착 용 조건, 재료, 디자인에 따라서 알맞은 재단과 봉제 법을 충분히 연구해야 한다.
'패션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 의류 염색의 개괄 (0) | 2021.08.30 |
---|---|
패션의복디자인의 구성요소 (0) | 2021.08.27 |
패션 복식의 흐름 (0) | 2021.08.25 |
패션 복식의 미 (0) | 2021.08.25 |
패션마케팅의 소비자 행동 (0) | 2021.08.23 |
댓글